시장관찰기
-
20190202 孔子日報 (Confucious Daily)시장관찰기 2019. 2. 3. 04:55
경제관련 생각 심심해서 이것저것 들여다보다가 아래 표를 보게 되었다. 통화량 증가에 따른 CPI 증가율인데, 거의 2.5:1 로 증가한다. 너무 깔끔해서 눈으로도 회귀분석이 될 정도. 중국이나 콜롬비아같은 나라들은 좀 심하게 4:1 ~ 5:1 까지도 가긴 하는데, 이게 사실 증가된 통화량이 경제성장에 실제로 쓰이고 있으면 물가상승률은 억제된다고 본다. 중국 성장률을 7% (요새는 6%지만) 에서 8%로 잡을 경우에는 대략 비율상 레인지 안에 들어간다. 그럼 콜롬비아도 엄청나게 발전중인건가? 찾아보면 2014 콜롬비아 연간 GDP 성장률은 6% 에 약간 못미친다. 이러면 대충 레인지 안에 들어간다. 하지만 최근 콜롬비아 성장률은 2.8% 수준이다. 스위스는 경제성장률이 거의 3%수준이다. 그런데 명목 1인..
-
20190201 孔子日報 (Confucious Daily)시장관찰기 2019. 2. 2. 15:18
경제관련 생각미국은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 이후에 풀린 엄청난 양의 달러는 어디로 갔을까. 2009년에 본원통화량 M0 가 갑자기 9000억달러에서 몇년내로 4조달러까지 늘어나게 된다. 아래 차트가 M0, M1, M2 다. 보통 통화량은 경제성장률등을 고려해 연 4~6% 정도 증가하는것이 일반적인데,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무려 4배이상이 늘어났다. 연율로치면 매년 30~35% 씩 늘어난 것이다. 여튼 시중에 돈이 갑자기 4배가 된 것인데, 시차를 좀 두면서 M1 이 스무스하게 늘어난다. M1 을 보면 대충 3배 늘어나 있다. 대략 M1 - M0 가 민간은행이 준비은행에 예금하는 금액이라고 쳐도 일단 시중에 자금이 3배정도 풀려있는 상태다. 주식이나 그외 회사채들 등은 M2 에 포함되므로 차트를..
-
-
시장관찰기 - 금 투자에 대한 소고시장관찰기 2019. 1. 25. 11:16
금이 몇년째 박스권에서 등락을 계속하고 있고 국제 금융시장이 최근에 약간 불안정해지고 있어서 꽤 많은 사람들이 금에 투자해서 안전하게 보관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들을 하는 것 같다. 아래 차트를 보면 최근 5년간 뭐 그냥 예쁜 박스안에 갇혀있다*출처 : https://www.tradingview.com/symbols/XAUUSD/ 이걸 한 50년 좀 안되는 차트로 보면 다음과 같다. 요렇다. 2012년 11월을 기점으로 폭락했다. 웃기는건 2012년 올해의 한자로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가 고른 한자가 '金' 이었다는 것. 하지만 저 때 가장 많이 오른 귀금속은 Paladium 이다. 금이나 은이나 플래티넘이 아니고. 팔라듐은 플래티넘 대체제로 촉매로서 사용되는데, 주로 자동차 매연저감장치에 달리게 된다. 매연..